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머스크 “오픈AI 기술 접목한 애플 기기, 내 회사에선 금지”
알림

머스크 “오픈AI 기술 접목한 애플 기기, 내 회사에선 금지”

입력
2024.06.11 08:54
0 0

애플 ‘아이폰 등에 챗GPT 탑재’ 발표에 반감
“애플·오픈AI의 사생활 보호 약속 터무니없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 로이터 연합뉴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 로이터 연합뉴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애플의 ‘아이폰·아이패드 내 챗GPT 탑재’ 계획 발표에 거센 반감을 드러냈다.

머스크는 10일(현지시간) 자신의 엑스(X) 계정에 “애플이 OS(운영체제) 수준에서 오픈AI를 통합한다면 내 회사들에서 애플 기기는 (반입이) 금지될 것”이라고 썼다. 이어 “이는 용납할 수 없는 보안 위반”이라며 “(내 회사) 방문자들은 (회사의) 문 앞에서 애플 기기를 확인받아야 하고, 이것들은 패러데이 케이지(외부의 정전기장을 차단하는 도체 상자)에 보관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앞서 애플은 이날 연례 ‘세계 개발자 회의(WWDC) 2024’에서 아이폰 운영체제 iOS 18 등에 인공지능(AI) 기능을 대폭 탑재한다고 밝혔다. ‘애플 인텔리전스’라는 이름으로 해당 시스템을 소개한 애플은 특히 자체 음성 비서 ‘시리(Siri)’에 오픈AI의 생성형 AI 챗GPT를 접목한다고 설명했다.

머스크는 “애플이 자체적인 AI를 만들 정도로 똑똑하지도 않으면서, 오픈AI가 당신의 보안과 사생활을 보호한다고 보장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히 터무니없다”고 쏘아붙였다. 그러면서 “애플이 일단 당신의 데이터를 오픈AI에 넘겨주면 실제로 무슨 일이 일어날지 전혀 알 수 없다. 그들은 당신을 배신하고 팔아넘기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그는 오픈AI가 애플 아이폰을 통해 사용자 데이터를 빨아들이는 모습을 형상화한 이미지에 “애플 인텔리전스의 작동 방식”이라는 제목을 단 게시물도 올렸다.

머스크는 2015년 샘 올트먼과 함께 오픈AI를 창립했다. 그러나 2018년 테슬라의 AI 연구에 따른 이해충돌 문제 등으로 오픈AI 이사직을 사임했고, 투자 지분도 모두 처분하는 등 완전히 손을 뗐다. 이후 2022년 오픈AI가 챗GPT를 출시하며 생성형 AI 열풍을 일으키자 머스크는 오픈AI의 영리 사업, 챗GPT의 정치적 편향성 등을 강도 높게 비판하고 나섰다. 지난해 오픈AI에 맞서 ‘진실 추구 AI’를 개발하겠다는 선언과 함께 AI 스타트업 ‘xAI’를 직접 설립했으며, 올해 2월 말에는 오픈AI를 상대로 소송을 내기도 했다.

김정우 기자

관련 이슈태그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